본문 바로가기
정보

장례식장 복장 인사 조의금 총정리

by 알로,Aloiogෆ 2025. 5. 4.
반응형

 

 

 

 목차

 

장례식 복장 예절

장례식 예절, 헷갈린다면 이 글 하나로 정리 끝!

누구에게나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장례식.
하지만 정작 가야 할 때는 복장, 인사말, 조문 순서 등 모든 것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기 마련입니다.

이 글에서는 장례식에서 꼭 지켜야 할 기본예절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처음 가는 분도, 오랜만에 가는 분도 이 글 하나면 충분합니다.


장례식 복장 예절

남자 조문객

  • 정장 또는 어두운 계열 셔츠 + 검정 바지
  • 넥타이는 되도록 검은색
  • 신발은 무광/단정한 검정 구두

여자 조문객

  • 검은색 원피스, 정장 또는 블라우스 + 긴 바지/치마
  • 스타킹 착용 (검정 또는 살색)
  • 화려한 액세서리, 향수, 진한 화장은 피함
※ 복장이 정장과 다소 다르더라도 단정하고 검소한 인상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조문 순서와 인사법

조문 순서와 인사법

  1. 장례식장 도착: 조문객 명부에 이름 작성 → 헌화 순서 대기
  2. 분향/헌화: 헌화 또는 향 → 묵례 → 유가족 인사
  3. 인사말:
    •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.”
    • “큰 슬픔에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.”
    • 불교식: “극락왕생하시길 빕니다.”
    • 기독교식: “하늘나라에서 평안하시길 기도드립니다.”
※ 유가족의 손을 잡거나 과도한 위로는 피하고, 짧고 차분한 말이 예의입니다.

 

조의금 예절  / 조문 시 주의할  점

 

조의금 예절

얼마가 적당할까?

관계 조의금 액수 (원)
친구/지인 3만 ~ 5만원
회사 동료 5만 ~ 10만원
가까운 친척 10만 ~ 30만원
직계 가족 50만원 이상
  • 신권, 깨끗한 지폐로 준비
  • 봉투 겉면에는 “謹弔(근조)”, “조의” 등 표기
  • 이름은 봉투 앞 또는 내부 종이에 기재

조문 시 주의할 점

  • 고인의 가족이나 종교에 따라 예법이 다를 수 있음
  • 너무 오랜 시간 머무르기보다 짧고 정중한 인사가 바람직
  • 조문 중 전화 벨소리, 웃음소리, 사진 촬영 등은 삼가야 함
  • 장례식장 음식은 감사히 조용히 먹고 자리를 비워주는 것이 예의

장례식장에서 피해야 할 행동

  • 과도한 질문 (“어쩌다 그렇게…”, “병명이 뭐였대?” 등)
  • 고인의 외모나 상태 언급
  • 술에 취한 상태로 방문
  • 큰소리 대화, 농담
  • 지나치게 밝은 복장/모자 착용

마무리하며

장례식은 고인을 기리고 유가족의 슬픔을 함께 나누는 자리입니다.
형식보다 중요한 것은 예의와 진심, 그리고 조용한 배려입니다.

이 글을 참고하셔서, 어색하고 어려운 조문 자리에서도 차분하고 격식 있는 모습을 보여주시길 바랍니다.

 

반응형